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Next.js5

DevReview – 익명성을 보장하는 개발자 포트폴리오 리뷰 플랫폼 DevReview – 익명성을 보장하는 개발자 포트폴리오 리뷰 플랫폼저는 최근 7일간 (9/1 ~ 9/7) 사이드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개발자들이 자유롭게 포트폴리오를 공유하고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었습니다. 이름은 DevReview입니다.👉 데모 바로가기: https://devreview.vercel.app/📝 프로젝트를 시작한 이유그동안 저는 학습을 목적으로 여러 프로젝트를 만들었지만, 대부분의 결과물은 제 컴퓨터 속 코드로만 남거나, 잠깐 운영되다 사라지는 **‘죽은 작업물’**이 되곤 했습니다.이번에는 달라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앞으로 만들 모든 결과물들을 한 곳에 모아 기록하고, 운영하고,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싶었습니다.그래서 시작한 것이 바로 DevReview입니다.. 2025. 9. 8.
사이드 프로젝트 도전기 (Day 6) - 구글 SSO 연동 및 마무리 작업 🔐 사이드 프로젝트 도전기 (Day 6) - 구글 SSO 연동 및 마무리 작업 🔐사이드 프로젝트 도전 6일차, 드디어 구글 SSO(싱글사인온) 연동을 마무리했습니다.AI 코딩, 검증 그리고 보안이번 구글 SSO 연동 작업에서는 **'바이브 코딩'**을 통해 얻은 코드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직접 검증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처음 코파일럿은 Next.js에서 바로 구글 SSO URL을 생성하는 방식을 제안했지만, 과거 파이썬으로 작업했던 경험을 떠올리며 제미나이에게 다시 문의했습니다. 제미나이 역시 백엔드에서 인증 URL을 생성해 처리하는 것이 더 안정적이라고 알려주었죠. 이렇게 AI의 답변을 맹신하지 않고, 하나하나 직접 확인하고 테스트하며 프로젝트의 완성도를 높였습니다.SSO 연동 후, 기존에.. 2025. 9. 7.
사이드 프로젝트 도전기 (Day 5) - 기능 구현 완료, 이제 마무리! 🚀 사이드 프로젝트 도전기 (Day 5) - 기능 구현 완료, 이제 마무리! 🚀사이드 프로젝트 도전 5일차, 오늘은 정말 많은 작업을 해냈습니다!오늘 완료한 주요 작업들프로필 페이지 UI 및 API 연동: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보여주는 페이지를 완성했습니다.포트폴리오 수정/삭제 기능: 이제 포트폴리오를 자유롭게 수정하고 삭제할 수 있습니다.포트폴리오 API에 피드백 카운트 추가: 각 포트폴리오에 달린 피드백 수를 한눈에 볼 수 있게 했습니다.이렇게 기능적인 부분은 거의 마무리되었습니다.AI 코딩과 커밋의 중요성**'바이브 코딩'**을 활용하면서 한 가지 중요한 교훈을 얻었습니다. AI가 알려준 코드를 적용할 때마다 바로바로 커밋하는 것이 좋겠다는 점입니다.실무에서는 어떨지 모르겠지만, 개인 프로젝트를 진.. 2025. 9. 6.
사이드 프로젝트 도전기 (Day 3) – 프론트와 백엔드 첫 연결 사이드 프로젝트 도전기 (Day 3) – 프론트와 백엔드 첫 연결바이브코딩으로 만들어진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코드를 실제로 연동하는 작업에 들어갔습니다.처음엔 막막했지만, 하루 종일 부딪혀 본 끝에 데이터 통신의 첫 단계를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1. 프론트엔드에서의 막막함연동을 시도하면서 가장 크게 느낀 건,“AI가 짜준 코드를 그대로 쓰면 내 것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었습니다.API 연동 방법을 AI에게 물어보면 답은 주지만,저는 API Key를 헤더에 넣어야 하는 구조였기 때문에 단순히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서 사용할 수 없었습니다.이 과정에서 Next.js의 api 디렉토리와 route.ts 개념을 새롭게 알게 되었습니다. (백엔드 API를 프론트에서 바로 호출하지 않고, Next.js 서버 라우트를.. 2025. 9. 4.
사이드 프로젝트 도전기 (Day 2) – 바이브코딩을 하면서 느낀 점 사이드 프로젝트 도전기 (Day 2) – 바이브코딩을 하면서 느낀 점바이브코딩으로 사이드 프로젝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에이전트를 활용해 UI 구현과 백엔드 서버 구축까지 약 2일 만에 완료했는데요, 솔직히 “이 프로젝트 금방 끝나겠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하지만 그건 착각이었습니다.1. 내가 짠 코드가 아니다바이브코딩으로 작성된 코드는 제가 직접 구현한 것이 아니다 보니,수정을 하려면 어디를 고쳐야 할지 감이 잘 오지 않았습니다.결국 다시 에이전트에게 물어볼 수밖에 없더군요.2. FastAPI, 낯선 언어의 벽백엔드 서버는 FastAPI를 사용했습니다.언어 구조야 비슷하다지만, 파이썬에 익숙하지 않은 저로서는 코드를 이해하는 데 시간이 꽤 걸렸습니다.기능이 정상 동작하지 않을 때마다 에이전트가 테스트까.. 2025. 9. 3.
반응형